TalkTalk 정보

[정부정책] 소상공인 7.14일 부터 '3대 지원사업' 시행

소소 마카롱 2025. 8. 17. 18:38
반응형
S·M·E

소상공인 경영부담 줄인다 — 7월 14일부터 ‘3대 지원사업’ 본격 시행

근거: 정부 정책브리핑·중소벤처기업부·기업마당 공식 공고
한눈에 보기
  • 3대 지원 = ① 부담경감 크레딧(공과금·4대보험 납부용 50만 원), ② 비즈플러스카드(중·저신용 운영자금 카드, 한도 최대 1,000만 원), ③ 배달·택배비(최대 30만 원). [1]
  • 시작일: 2025년 7월 14일(월)부터 신청 본격화(배달·택배비는 2월 17일 선 시행). [1]
  • 예산: 부담경감 크레딧 1조 5,660억, 비즈플러스카드 7,000억, 배달·택배비 2,037억 (본예산). [1]
  • 업데이트: 2025년 8월 11일(월)부터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가 통신비·차량 연료비까지 확대되었습니다(총 9개 항목). [6]

1) 무엇이 달라지나? — 사업별 핵심 요약

사업 지원내용/한도 주요 대상 신청·기간 비고
부담경감 크레딧 공과금(전기·가스·수도)·4대 보험료 납부용 크레딧 50만 원 (2025.8.11부터 통신비·차량 연료비도 허용) [1][6] ’24 또는 ’25년 연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1인 1사업체) [1][3] 7/14~11/28 (’25년 신규개업자는 8/1~11/28) / 사용기한 12/31 [1][3] 카드사 1곳 선택→해당사 모든 카드 자동등록, 전용 누리집·소상공인24에서 신청. [1][3]
비즈플러스카드 중·저신용(나이스 595~839) 한도 최대 1,000만 원 신용카드, 최대 6개월 무이자, 1년간 3% 캐시백(최대 10만), 연회비·보증료 면제 [1][2] 재료·기기 구입 등 운영비 결제 필요 소상공인 [1][2] 7/14~12/31 (비대면 접수 7/14~7/18 5부제) [2] ① 지역신보 ‘보증드림’ 앱 보증신청 → ② IBK 앱 카드발급. [1][2]
배달·택배비 최대 30만 원 지원 [1][4][5] 연매출 3억 원 이하 전 업종(배달/택배 주업종·정책자금 제외업종은 제외) [1][5] ’25. 2/17부터 시행 중 (~예산 범위) [1][5] 전용 누리집 또는 소상공인24로 신청. [1][5]

2) 어디서·어떻게 신청하나? (Step-by-step)

① 부담경감 크레딧

  1. 자격확인: ’24/’25년 연매출 3억 원 이하, 1인 1사업체 원칙. [1][3]
  2. 신청 경로: 전용 누리집(「부담경감크레딧.kr」) 또는 소상공인24. [1][3]
  3. 카드사 선택 후 신청 → 선정되면 해당 카드사 모든 신용/체크카드가 자동 등록되어 공과금·4대보험(8/11부터 통신비·연료비 포함) 결제 시 자동 차감. [1][3][6]
  4. 일정: 7/14~11/28(신규개업 8/1~11/28) / 사용기한 12/31. [1][3]
  5. 문의: 소진공 콜센터 1533-0600. [1]

② 비즈플러스카드

  1. 자격확인: 나이스 595~839점 중·저신용 소상공인. 혜택: 한도 최대 1,000만 원, 6개월 무이자, 1년간 3% 캐시백(최대 10만), 연회비·보증료 면제. [1][2]
  2. 1단계 (보증): 지역신용보증재단 앱(‘보증드림’)에서 보증신청·승인. [1][2]
  3. 2단계 (카드발급): IBK ‘IBK카드’ 또는 ‘i-ONE Bank(기업)’ 앱에서 발급 신청. 접수기간 7/14~12/31 (비대면 5부제 7/14~7/18). [2]
  4. 문의: 지역신보 1588-7365, IBK 영업점. [1]

③ 배달·택배비

  1. 자격확인: 연매출 3억 원 이하, 배달/택배 주업·정책자금 제외업종은 제외. 최대 30만 원. [1][5]
  2. 신청 경로: 전용 누리집(「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 또는 소상공인24. [1][5]
  3. 사업 진행: 2025.2.17 본예산으로 이미 시행 중(예산 범위 내). [1][5]
  4. 세부 공고: 기업마당 공고 참조. [5]

3) 실무 체크리스트

  • 중복 제한: 1인이 여러 사업체 운영해도 1개 사업체만 지원(부담경감 크레딧·배달·택배비). [1][3]
  • 매출 기준 확인: 부담경감 크레딧·배달/택배비 모두 연매출 3억 원 이하 기준(국세청 신고자료 기준). [1][3][5]
  • 마감일 엄수: 부담경감 크레딧 신청 ~11/28, 사용 ~12/31. 비즈플러스카드 신청 ~12/31. [1][2][3]
  • 첫 주 혼잡: 비즈플러스카드 비대면 5부제(7/14~7/18) 공지 — 접속 분산에 유리. [2]
  • 사용처 확대: 통신비·차량 연료비 확대(8/11 시행) 확인 후 결제 전략 재설계 권장. [6]

4) 자주 묻는 질문(FAQ)

Q1. 부담경감 크레딧으로 무엇을 결제할 수 있나요?
A. 전기·가스·수도요금 등 공과금과 4대 보험료 납부에 사용됩니다. 2025.8.11부터는 통신비·차량 연료비도 가능해졌습니다. 카드사 등록 후 해당 비용 결제 시 자동 차감. (사용기한: 12/31) [1][6]

Q2. 비즈플러스카드는 누가 받을 수 있나요?
A. 나이스 595~839점의 중·저신용 소상공인이 대상입니다. 지역신보 보증 후 IBK 앱에서 발급, 한도 최대 1,000만 원, 6개월 무이자, 1년간 3% 캐시백(최대 10만), 연회비·보증료 면제 혜택이 있습니다. [1][2]

Q3. 배달/택배비는 모든 업종이 가능한가요?
A. 전 업종 대상이지만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정책자금 제외업종은 제외됩니다. 기업마당 공고에서 세부 요건을 확인하세요. [5]

Q4. 공식 세부지침(PDF)은 어디서 보나요?
A. 중기부 시행공고(PDF)수정공고에서 최신 본문을 확인하세요(첨부 링크 참조). [3][7]

저작권·주의
본 글은 정부 공식 공고/보도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정부기사의 텍스트는 공공누리 기준으로 이용 가능하나, 사진·이미지 등은 별도 저작권이 있을 수 있어 본문에는 삽입하지 않았습니다. 실제 신청 전에는 반드시 각 최신 공고문을 확인하세요. [1]

5) 참고자료(각주)

  1. 정부 정책브리핑 기사: 소상공인 경영부담 줄인다…내달 14일부터 ‘3대 지원사업’ 본격 시행 (2025.6.24). [1] 
  2. 중소벤처기업부 사업공고: 소상공인 비즈플러스카드 지원사업 시행계획 — 신청 7/14~12/31, 비대면 5부제 7/14~7/18. [2] 
  3. 중기부 공고(PDF):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지원사업」 시행 공고 (및 수정공고). [3][7] 
  4. 중기부 보도자료(PDF): 소상공인 경영부담 완화를 위한 3대 지원사업 본격 시행. [4] 
  5. 기업마당 공고: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세부요건). [5] 
  6. 중기부 보도자료(사용처 확대): ‘부담경감 크레딧’ 사용처를 통신비와 차량 연료비까지 확대 (발표 2025.8.6, 시행 2025.8.11). [6] 
  7. 부담경감 크레딧 수정공고(PDF): 제2025-449호.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