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은 잘 안 먹고 한국인만 즐겨 먹는 음식 12선
한국의 식탁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는 낯설거나 때로는 충격적인 음식들이 있습니다. 한국인에게는 어릴 때부터 친숙한 음식이지만, 외국인에게는 향·맛·모양이 너무 독특해 쉽게 다가가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12가지 음식을 소개하며, 외국인들의 반응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한국의 식탁에는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는 낯설거나 때로는 충격적인 음식들이 있습니다. 한국인에게는 어릴 때부터 친숙한 음식이지만, 외국인에게는 향·맛·모양이 너무 독특해 쉽게 다가가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12가지 음식을 소개하며, 외국인들의 반응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산낙지는 잘라낸 낙지 다리가 접시 위에서 꿈틀거리며 살아있는 듯한 모습으로 제공됩니다. 한국인에게는 신선함과 쫄깃한 식감을 즐길 수 있는 별미지만, 외국인들은 "살아있는 걸 먹는 것 같다"며 큰 충격을 받습니다. 심지어 일부 외국 언론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도전적인 음식 중 하나"로 꼽기도 했습니다.
길거리 간식으로 유명한 번데기는 누에 번데기를 삶아 간장이나 소금 간을 한 음식입니다. 한국인에게는 어릴 적 추억의 간식이지만, 외국인들은 곤충을 먹는다는 발상 자체에 거부감을 보입니다. “고소하다”는 한국인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은 향과 비주얼 때문에 두려워합니다.
곱창은 소나 돼지의 내장을 구워 먹는 음식이고, 순대는 돼지 창자 속에 당면이나 피를 넣어 찌는 음식입니다. 한국에서는 술안주와 별미로 사랑받지만, 외국인에게는 내장을 먹는다는 점이 생소합니다. 다만, 유럽 일부 국가에서도 내장을 요리에 쓰기 때문에 "조금 독특한 소시지 같다"고 받아들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멍게는 바다의 요오드 향이 강한 해산물입니다. 한국에서는 신선한 멍게를 회로 즐기지만, 외국인들은 "비누 맛 같다"거나 "바닷물 그대로 마시는 느낌"이라고 표현합니다. 특유의 향 때문에 한국인마저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이지만, 좋아하는 사람은 해산물 중 최고라고 꼽습니다.
청국장은 콩을 발효시켜 만드는 전통 장류 음식으로, 강한 냄새 때문에 외국인들은 "썩은 치즈 냄새 같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국인에게는 구수한 맛과 영양 덕분에 건강식으로 사랑받습니다. 일부 서양인들은 "블루치즈와 비슷하다"며 의외로 호감을 보이기도 합니다.
제사상과 비빔밥에 빠질 수 없는 고사리는 한국인에게 너무나 익숙하지만, 서양에서는 거의 먹지 않습니다. 특유의 질감과 쌉싸래한 맛 때문에 외국인들은 "나무를 먹는 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사리의 항산화 성분이 알려지면서 건강식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 미역, 다시마는 한국에서 매일 먹지만, 외국에서는 오랫동안 식용하지 않았습니다. 서양인들은 김밥에 들어간 김은 잘 먹지만, 미역국을 마실 때는 "바다 풀을 먹는 느낌"이라고 합니다. 최근에는 슈퍼푸드로 알려지며 점차 세계인의 식탁에도 오르고 있습니다.
개불은 독특한 모양 때문에 "해양 벌레 같다"고 불리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씹을수록 고소한 맛으로 사랑받지만, 외국인에게는 형태부터 충격적이라 호기심과 거부감이 동시에 생깁니다.
명태를 얼리거나 말려 국물로 끓이는 요리는 한국 겨울철 별미입니다. 외국인들은 "생선 비린내가 너무 강하다"고 느끼기도 하지만, 익숙해지면 시원한 국물 맛에 매력을 느낍니다.
무로 담근 동치미는 시원하고 깔끔한 국물 맛으로 한국인에게는 최고의 해장 음식입니다. 하지만 외국인들은 "짠데 시큼하다"는 맛의 조합이 낯설어 고개를 갸웃합니다.
한국 길거리에서 파는 재미있는 디저트로, 모양은 충격적이지만 속은 달콤한 팥이나 초코가 들어 있습니다. 외국인들은 "웃기고 신기하다"며 기념 삼아 먹기도 하지만, 의외로 맛은 좋아 호응을 얻습니다.
특히 간장게장은 "밥도둑"이라 불리며 한국인에게 사랑받습니다. 하지만 이탈리아 등 서양에서는 꽃게 자체를 거의 먹지 않아, 게 껍데기와 내장을 함께 먹는 모습에 크게 놀랍니다. “날로 숙성된 게장을 먹는 건 상상도 못 한다”는 반응도 많습니다.
한국인에게는 너무도 자연스러운 음식들이 외국인에게는 전혀 새로운 세계로 다가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김, 김치, 해조류 등이 건강식으로 알려져 점차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국 특유의 식문화는 낯설지만 흥미로운 도전으로 외국인들에게 기억되며, 세계 미식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 [정부정책] 세컨드 홈·지방 미분양주택에 세제 혜택 시행 추진 (15) | 2025.08.17 |
|---|---|
| [정부정책] 소상공인 7.14일 부터 '3대 지원사업' 시행 (13) | 2025.08.17 |
| 제17회 대통령배 아마추어 이스포츠 대회 소개 (65) | 2025.08.15 |
|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 123대 국정과제 개요 (13) | 2025.08.15 |
| 경주 APEC 2025 모든 것 (17) | 202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