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 상설(Standing) 라인: 미국 연준(Fed) ↔ ECB, 영란은행, 일본은행, 스위스국민은행, 캐나다은행 (5대 중앙은행) — 시장 스트레스 시 달러/상대통화 유동성 공급 장치.
- 한시(Temporary) 라인: 글로벌 위기 시 호주·브라질·덴마크·한국·멕시코·노르웨이·뉴질랜드·싱가포르·스웨덴 등에 개설. 2020년에는 일부 $60B·$30B 한도.
- 한국 사례: 2008년 $30B, 2020년 $60B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로 달러 유동성 경색 완화·환율 안정에 기여.
환율이 급등하고 달러가 귀해지는 순간, 뉴스에서 “통화스와프”가 꼭 등장하죠. 그런데 어느 나라와, 얼마 규모로, 왜 맺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
이 글 하나면 미국(연준)의 통화스와프 맵과 한국(한미 스와프) 사례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통화스와프, 한 줄 정의와 핵심 포인트
- 정의: 두 중앙은행이 서로의 통화를 정해진 환율로 교환하고, 만기 시 같은 환율로 되돌리는 계약. 외화(달러) 유동성 백스톱 역할. 💧
- 왜 필요? 글로벌 금융 스트레스 때 달러 조달이 막히는 것을 방지해 신용경색 전이를 줄이기 위해.
- 누가 빌려주나? 연준→외국 중앙은행까지만 거래. 민간은행 신용위험은 해당국 중앙은행이 부담. 연준은 환율변동 리스크 없음(같은 환율로 상환). 🛡️
2) 미국의 상설(Standing) 통화스와프 라인 🧰
대상(5): 유럽중앙은행(ECB), 영란은행(BoE), 일본은행(BoJ), 스위스국민은행(SNB), 캐나다은행(BoC).
구분 | 상대 중앙은행 | 통화 | 비고 |
---|---|---|---|
상설 달러 라인 | ECB, BoE, BoJ, SNB, BoC | USD | 2013.10 이후 상설 전환, 필요 시 달러 유동성 공급 |
상설 외화 라인 | 위 5개 중앙은행 | EUR/GBP/JPY/CHF/CAD | 연준이 미국 내 기관에 외화 유동성 공급 가능(대부분 테스트 수준) |
※ 상설라인은 유지 상태이며, 실제 공급은 시장 스트레스에 따라 가변.
“상설 달러 스와프 라인(standing dollar swap lines)”은 미국 연준(Fed)이 5개 주요 중앙은행과 항상 열어둔 달러 유동성 공급 장치입니다.
① 상설 달러 라인 상대
- 유럽중앙은행(ECB)
- 영란은행(BoE)
- 일본은행(BoJ)
- 스위스국민은행(SNB)
- 캐나다은행(BoC)
(2013년 10월부터 상설화됨)
② 의미
-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핵심
- 위기 때 달러가 부족해도 이 5개 중앙은행은 연준과 즉시 스와프 계약을 통해 달러를 빌려 자국 금융기관에 공급할 수 있음.
- 사실상 “무제한 달러 백스톱(backstop)”으로 인식돼 국제금융 안정에 큰 의미가 있음.
- 글로벌 달러 조달 시장 안정
- 국제무역·투자·대출에서 달러가 중심이기 때문에, 달러 유동성이 막히면 전 세계 금융 불안으로 이어짐.
- 상설 라인은 이를 막는 항시 가동 가능한 안전판 역할.
- 신뢰·협력의 상징
- 연준이 모든 나라에 이런 라인을 주는 건 아니고,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5개국만 선정.
- 달러 시스템의 핵심 파트너라는 신뢰의 표시.
③ 방식 (운영 구조)
- 개시 시점: 외국 중앙은행이 연준에 자국통화를 맡기고 달러를 빌림.
- 만기 시점: 동일한 환율로 통화를 재교환, 이자(연준 기준금리+가산금리)는 외국 중앙은행이 부담.
- 국내 공급: 외국 중앙은행은 받은 달러를 자국 은행들에 옥션 방식 등으로 공급.
- 연준의 리스크 없음: 같은 환율로 되돌리기 때문에 환차손 위험 없음.
④ 실제 활용
- 2008 금융위기, 2020 코로나 충격 때 이 라인들을 통해 대규모 달러가 공급됨.
- 예: 2008년에는 유럽 은행들이 달러 부족을 겪자 ECB가 스와프 라인을 통해 수백억 달러 조달.
- 2020년 코로나 위기 때도 하루 수천억 달러 단위로 스와프 달러가 공급되어 시장 패닉 완화.
3) 미국의 한시(Temporary) 통화스와프 라인 — 2020년 코로나 위기 🩹
2020.3.19 연준은 기존 상설 5개국 외에 아래 9개 중앙은행과 6개월 한시 라인을 열어 달러 경색을 완화했습니다.
국가/지역 | 중앙은행 | 최대 한도 | 비고 |
---|---|---|---|
호주 | Reserve Bank of Australia | $60B | 2020.3 발표 |
브라질 | Banco Central do Brasil | $60B | 〃 |
대한민국 | Bank of Korea | $60B | 한미 스와프 |
멕시코 | Banco de México | $60B | 〃 |
싱가포르 |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 | $60B | 〃 |
스웨덴 | Sveriges Riksbank | $60B | 〃 |
덴마크 | Danmarks Nationalbank | $30B | 〃 |
노르웨이 | Norges Bank | $30B | 〃 |
뉴질랜드 | Reserve Bank of New Zealand | $30B | 〃 |
※ 해당 한시는 이후 연장을 거쳐 만료. 상설 5개 라인은 계속 유지.
4) 왜 체결하나? — 연준의 목적 3가지 🎯
- 글로벌 달러 유동성 백스톱: 해외 금융기관의 달러 조달 스트레스를 완화해 미국 금융시장으로의 파급을 차단.
- 신용·자금시장 안정: 기업어음·외화자금시장 경색을 완화하고 대출·결제 시스템을 지지.
- 정책전이 강화: 주요 중앙은행 간 공조로 통화정책 효과를 국경 넘어 강화.
5) 🇰🇷 한국의 통화스와프 사례 — 2008 & 2020
① 2008 글로벌 금융위기
- 규모: $30B 한시 스와프(2008.10.29 발표).
- 효과: 달러 경색 완화 → 환율 급등 진정, 주가 반등 등 시장 안정에 기여.
② 2020 코로나19 쇼크
- 규모: $60B 한시 스와프(2020.3.19 체결, 이후 연장).
- 운영: 한은이 스와프 달러를 시장에 외화대출·환매조건부 방식으로 공급, 단기 달러 조달난 완화.
현명한 팁 💡
- 통화스와프는 외환보유액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단, 급한 불을 끄는 소화전처럼 위기 시 달러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유동성 안전판입니다.
- 스와프가 활성화되더라도 실제 사용(도달)과 잔액은 별개입니다.
뉴욕연은 공개 운영 결과
에서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요.
6) 자주 받는 질문(FAQ) 🙋♀️
- 미국이 모든 나라와 맺나? 아니요. 상설은 5개 주요 중앙은행만, 한시는 위기 시 선별 개설.
- 환율 손실은? 스와프는 같은 환율로 되돌려 환차손 위험이 없습니다(이자는 별도).
- NAFA(북미 프레임워크) 라인은? 캐나다·멕시코와의 소액 양자 라인(연준 및 미 재무부 별도)이 존재합니다.
7) 한눈에 보는 정리표 📌
분류 | 상대국(중앙은행) | 상태 | 대표 한도 | 메모 |
---|---|---|---|---|
상설 | ECB, BoE, BoJ, SNB, BoC | 유지 | 수요 대응(수시) | 2013.10 상설 전환 |
한시(2020) | 호주, 브라질, 한국, 멕시코, 싱가포르, 스웨덴 | 만료 | $60B 각 | 2020.3 개설, 연장 후 종료 |
한시(2020) | 덴마크, 노르웨이, 뉴질랜드 | 만료 | $30B 각 | 〃 |
NAFA | 캐나다·멕시코 | 존재 | BoC $2B, Banxico $3B(연준 라인) | 재무부 라인(멕시코 $9B) 별도 |
출처(공식·신뢰도 높은 링크)
- Federal Reserve — Central bank liquidity swaps(개요·메커니즘·NAFA)
- Federal Reserve(보도자료) — 2020.3.19 한시 스와프(국가·한도)
- Federal Reserve(보도자료) — 2008.10.29 브라질·멕시코·한국·싱가포르 $30B
- Federal Reserve — Swap Lines FAQ(목적·리스크 구조·공개)
- New York Fed — 상설 라인·문서 묶음
- 한국은행(보도자료) — 2008 한미 스와프 안내
- JoongAng Daily — 2020 한미 스와프 $60B 기사
도움이 되셨나요? 😊 더 유용한 경제·금융 꿀팁을 위해 공감·구독 부탁드립니다^^
추천 태그
통화스와프 연준 한미스와프 달러유동성 외환시장 ECB BoJ BoE SNB BoC
참고: 본문 핵심 사실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설 5개 중앙은행과 상설·외화 라인 구조, NAFA 라인과 메커니즘은 연준 공식 페이지와 FAQ에서 확인됩니다. ([연방준비제도][1]) 2020년 한시 스와프의 국가별 한도(\$60B·\$30B 구분)는 2020년 3월 19일 연준 보도자료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2]) 2008년 한국의 \$30B 스와프는 연준 보도자료 및 한국은행 자료로 확인됩니다. ([연방준비제도][3]) 2020년 한국의 \$60B 스와프 체결은 동시기 국내 주요 언론 보도로도 확인됩니다. ([Korea Joongang Daily][4]) [1]: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bst_liquidityswaps.htm "Federal Reserve Board - Central bank liquidity swaps" [2]: https://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pressreleases/monetary20200319b.htm "Federal Reserve Board - Federal Reserve announces the establishment of temporary U.S. dollar liquidity arrangements with other central banks" [3]: https://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pressreleases/monetary20081029b.htm?utm_source=chatgpt.com "Federal Reserve, Banco Central do Brasil, Banco de Mexico, Bank of Korea, and Monetary ..." [4]: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2020/03/20/economy/Korea-US-sign-60-billion-currency-swap-deal/3075171.html?utm_source=chatgpt.com "Korea, U.S. sign $60 billion currency swap deal"
'TalkTalk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버대 의사 권고 주방에서 당장 버려야 할 3가지 위험한 물건 (8) | 2025.09.22 |
---|---|
브리짓 마크롱 ‘남자설’ 음모론 전말 — 왜 퍼졌나, 주요 경과와 현재 소송(2025 최신) (6) | 2025.09.22 |
외국인들이 CU에서 많이 찾는 것 총정리 🛒: 김밥·즉석라면·치킨까지! (7) | 2025.09.21 |
외국인이 사랑한 K-상품 완전정리: 2025 핫템, 왜 뜨고 어디서 사나? (9) | 2025.09.21 |
헷갈리는 성폭력 관련 법률 용어 총정리 (6) | 202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