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Talk 정보

공룡시대에도 살았던 살아있는 화석 철갑상어에 대한 모든것.

소소 마카롱 2025. 9. 14. 14:18
반응형

1. 역사와 기원

  • 철갑상어는 가장 오래된 어류 중 하나로, 약 2억 년 전 쥐라기(Jurassic) 시대부터 존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흔히 “살아있는 화석(living fossil)”이라 불리며, 공룡 시대부터 거의 변화하지 않은 형태로 오늘날까지 살아남았습니다.

2. 수명

  • 철갑상어는 아주 장수하는 어종입니다.
  • 종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0년~100년 이상 살 수 있습니다.
  • 특히 **벨루가 철갑상어(Beluga sturgeon, Huso huso)**는 100년을 훌쩍 넘길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분포 지역

  • 주로 북반구의 강과 바다에 분포합니다.
  • 대표적인 서식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흑해, 카스피해, 아조프해 주변 (러시아, 이란, 카자흐스탄 등)
    • 유럽의 주요 강 (도나우강, 볼가강 등)
    • 북미: 캐나다와 미국의 대형 강(예: 미시시피강, 세인트로렌스강, 오대호 일대)
  • 대부분 바다와 민물을 오가며(회유성 어류) 번식은 민물에서 합니다.

4. 신체적 특징

  1. 체형
    • 몸은 길고 방추형이며,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딱딱한 비늘 대신 **단단한 골판(Scute, 방패 같은 구조물)**이 줄지어 있습니다.
    • 이 때문에 ‘철갑(鐵甲)상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2. 크기
    • 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형종은 길이가 5~7미터까지 자라기도 합니다.
    • 가장 큰 철갑상어(벨루가)는 무게가 1톤 이상 나갈 수 있습니다.
  3. 머리와 입
    • 입은 머리 아래쪽에 있고, 이빨이 없으며 입술 같은 구조로 바닥에서 먹이를 빨아들이는 방식입니다.
    • 먹이는 작은 물고기, 갑각류, 연체동물, 수서곤충 등입니다.
    • 입 주변에는 **수염(barbel, 더듬이 같은 감각기관)**이 있어 바닥에서 먹이를 찾습니다.
  4. 골격
    • 철갑상어는 완전한 뼈가 아니라, 연골성 뼈 구조를 갖고 있어 **연골어류(상어·가오리와 유사)**와 닮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5. 생태적 특징

  • 산란: 대부분의 철갑상어는 바다에서 살다가 산란기가 되면 강으로 올라와 알을 낳습니다(연어와 유사한 회귀 습성).
  • 성장 속도: 성장과 성숙이 느려, 번식하기까지 수년~수십 년이 걸립니다.
  • 산란 주기: 매년 산란하지 않고, 보통 몇 년 간격으로 산란합니다.

6. 인간과의 관계

  • 철갑상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급 식품 **캐비어(Caviar)**의 원천입니다.
  • 과도한 남획, 서식지 파괴, 댐 건설 등으로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재 대부분의 철갑상어 종은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됩니다.
  •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따르면, 철갑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놓인 어류 그룹 중 하나입니다.

7. 정리

  • 역사: 2억 년 전부터 존재 (살아있는 화석)
  • 수명: 보통 50~100년, 일부는 100년 이상
  • 분포: 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북미의 강·바다
  • 특징: 방패 같은 골판, 거대한 크기(최대 7m, 1톤 이상), 바닥 흡입식 먹이 섭취, 회유성 어류
  • 현황: 캐비어 원천으로 과도한 남획 → 대부분 멸종 위기

하지만 일부 철갑상어종은 멸종되가고 있다.

 

중국 주걱 철갑상어: 2020년 최종 멸종된것으로 알려짐(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wild_animal/923623.html)

주걱 철갑상어

 

1982년 중국에서 잡힌 주걱 철갑상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