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Talk 정보

모바일 신분증 하나로 병원, 은행, 영화관 다~ 가능!

소소 마카롱 2025. 8. 23. 09:22
반응형

모바일 신분증, 이것부터 알아두세요

스마트폰 하나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는 디지털 주민등록증입니다.: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2025년부터 전국적으로 도입되어 공공·민간 분야에서 신분 확인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① 발급 절차 (방식별)

  • QR코드 방식 (오프라인, 무료):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신청서 작성 및 본인 확인 → 공식 앱 설치 → 주민센터에서 제공하는 QR코드 촬영 → 모바일 신분증 발급 완료.
  • IC칩 방식 (온라인·오프라인, 유료 약 10,000원): IC 내장 주민등록증 재발급 → 스마트폰 NFC 태그 인증 → 모바일 신분증 발급.

② 준비물 & 대상 조건

  • 본인 명의 스마트폰 + 실물 주민등록증 (일부 방식에 필요)
  • 공식 앱 설치: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또는 ‘삼성월렛’ 등.{index=5}
  • 발급 대상: 만 17세 이상 유효한 주민등록증 소지자. 외국인은 제외됩니다.

③ 이렇게 쓸 수 있어요!

주민센터 민원, 공항 체크인, 은행·병원 방문, 투표, 편의점 주류 구매, 공공 자전거/전동킥보드 대여, 무인민원발급기 등 실물 신분증 대신 다양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④ 장점과 주의사항

  • 장점: 휴대성 뛰어나고 분실 위험↓, 비대면 인증·보안 강화 (블록체인, 암호화) 등.
  • 주의: 스마트폰 분실 시 즉시 발급 중지 요청 필요. 일부 기관에서는 아직 미지원일 수 있으니 실물 신분증도 함께 준비 권장.

모바일신분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