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Talk 정보

[정부정책]이재명 정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발표(25.8.22) 요약 정리

소소 마카롱 2025. 8. 26. 10:27
반응형

250822 새정부 경제성장전략.pdf
2.53MB

📑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요약 


1. 전략 배경과 비전

  • 한국 경제는 저성장·고물가·고금리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복합 위기 직면.
  • 새정부 비전: 민간 중심·혁신 주도·포용적 성장.
  • 목표:
    • 2030년까지 잠재성장률 3%대 회복
    • 글로벌 공급망 주도권 확보
    • 신산업 GDP 비중 40% 확대

2. 주요 추진전략

  1. 성장잠재력 확충
    • 민간투자 활성화(세제·규제 완화)
    • 노동시장 개혁(청년·여성 고용 확대, 유연근무제)
    • 생산성 혁신(디지털 전환, 자동화·스마트팩토리)
  2. 미래 신산업 육성
    • 5대 전략산업: 반도체(500조 투자), AI(초거대 모델 상용화), 바이오헬스(Top 5), 친환경에너지(재생에너지 25%), 모빌리티(UAM·자율주행)
  3. 혁신 생태계
    • 규제 샌드박스 확대, 민관 공동 R&D 70%, 금융지원(기술특례상장, 정책금융)
  4. 인재 양성 및 노동시장 개혁
    • 첨단 인재 10만 명 양성
    • 대학-기업 협력 교육, 여성·청년 고용 확대
  5. 지역 균형발전
    • 권역별 특화산업(수도권: 반도체·AI, 충청: 바이오, 영남: 모빌리티 등)
    • 광역 교통망, 스마트 물류망 확충
  6. 글로벌 전략
    • 반도체·배터리 동맹, 해외자원 개발+국내 리사이클링
    • CPTPP·IPEF 등 다자협력 참여
  7. 친환경·포용 성장
    • 2050 탄소중립, 수소경제, ESG 경영
    • 청년 주거·교육 지원, 소상공인 디지털화

3. 기대 효과

  • 2030년까지 잠재성장률 3%대
  • 신산업 GDP 비중 40% 이상
  • 일자리 50만 개 창출
  •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완화

📖 상세 내용


1. 서론: 전략 수립 배경 

  • 세계 경제 불확실성: 미중 갈등, 공급망 위기, 인구구조 변화
  • 한국은 잠재성장률 하락세, 생산성 저하, 신성장동력 부족
  • 비전: “민간 주도 성장, 혁신 중심 산업구조, 포용과 균형 발전”

2. 거시경제 및 성장잠재력 확충 

  • 투자: 기업 세제지원, 규제완화 → 민간자본 유입 확대
  • 노동: 고용 유연성 강화, 경력단절 여성 지원
  • 생산성: 디지털 인프라 구축, 스마트팩토리 확산
  • 최근 10년 생산성 증가율 정체 (1%대)

3.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 

  • 반도체: 세계 시장 주도, 2030년까지 500조 투자
  • AI: 반도체·초거대 모델 상용화,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
  • 바이오헬스: 신약·백신 글로벌 Top 5, 임상·규제 지원
  • 친환경에너지: 재생에너지 비중 25%, 수소경제, CCUS
  • 모빌리티: UAM(도심항공), 자율주행차 상용화

4. 혁신 생태계 조성 

  • 규제 샌드박스: 신산업 실증 허용
  • R&D 개편: 민관 공동연구 70%로 확대
  • 금융지원: 스타트업 스케일업 지원, 기술특례 상장 확대
  • R&D 투자 구조 개편안

5. 인재 양성 및 노동시장 개혁 

  • 첨단 인재 10만 명 양성 (반도체·AI·바이오 집중)
  • 기업-대학 연계 교육, 직업훈련 개편
  • 유연근무·재택근무 확산, 여성 경력단절 해소

6. 지역 균형발전 전략 

  • 권역별 전략
    • 수도권: 반도체·AI
    • 충청: 바이오
    • 호남: 에너지·농생명
    • 영남: 모빌리티·조선
    • 강원·제주: 관광·청정에너지
  • SOC 투자: 광역교통망, 스마트 물류망
  • 권역별 특화산업 배치

7. 글로벌 전략 및 공급망 확보 

  • 반도체·배터리 글로벌 동맹
  • 핵심광물 확보: 해외자원 개발 + 국내 리사이클링
  • 다자협력: CPTPP, IPEF 참여

8. 친환경·지속가능 성장 

  • 2050 탄소중립 로드맵과 연계
  • 수소경제, CCUS,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 ESG 경영 의무화 단계적 확대

9. 사회적 포용 및 분배정책 

  • 소득 하위 40% 지원 확대
  • 청년·신혼부부 주거 지원, 교육비 경감
  • 소상공인 디지털화, 금융 접근성 개선

10. 결론 및 전망 

  • 2030 목표
    • 잠재성장률 3%대
    • 신산업 GDP 비중 40%
    • 일자리 50만 개
  • 의미: 한국경제의 저성장 탈피, 미래 성장 기반 확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