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lkTalk 정보

지구의 종말 징조라는 "블랙문"이 내일(8.23,토) 뜬다.

소소 마카롱 2025. 8. 22. 19:33
반응형

블랙문(Black Moon) 완전 가이드

기사에서 말한 ‘블랙문’은 천문학의 공식 용어가 아닌 대중 별칭으로, 드물게 겹쳐지는 신월(New Moon) 일정을 가리킵니다. 즉, 물리적으로 ‘특별한 달’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달력·계절 구분 방식 때문에 신월이 겹쳐 보이는 일정상의 현상입니다. 

블랙문 관련 신문기사
 

지구 종말 징조 상징 ‘블랙문’, 내일 뜬다

지구 종말 징조 상징 블랙문, 내일 뜬다

biz.chosun.com

블랙문 이미지
 

정의 / 개요

  • 신월(New Moon):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와서, 지구에서 보는 달의 앞면이 어둡게 되는 위상(눈에 거의 보이지 않음). 천문학적 정의는 태양·달의 지구중심 황경이 일치하는 순간입니다.
  • 블랙문(Black Moon)은 두 가지 유형이 널리 쓰입니다. (공식 용어 아님)
    1. 월간형: 한 달력 월신월이 두 번 있는 경우(평균 약 29개월마다). 
    2. 계절형: 한 계절에 신월이 네 번일 때, 그중 세 번째 신월(평균 약 33개월마다). 
  • 블랙문은 보이지 않는 신월이므로, 하늘이 더 어두워져 성단·은하수 관측에 유리해지는 시기라는 점이 실질적 포인트입니다. 

왜 ‘지구 종말의 징조’라고도 불리나? (사실/오해 구분)

  • 문화적 별칭: 블루문(한 달 두 번 보름달)처럼 희귀한 달력 이벤트에 붙는 포크로어·점성술적 호칭에서 비롯. 천문학적으론 특이 재난 징후가 아닙니다.
  • 물리 현상 아님: 블랙문은 신월 그 자체로, 달이 태양과 거의 같은 방위에 있어 햇빛 눈부심에 가려 보이지 않을 뿐입니다. 지구 종말·재난과 연결할 과학적 근거는 없습니다

※ 요약: ‘블랙문=불길’은 미신/과장, ‘블랙문=달력상 드문 신월’이 사실.

언제 생기나? — 2025년 한국(서울) 기준

  • 블랙문 시점: 2025년 8월 23일(토) 15:06 KST 신월 발생. 2025년의 블랙문은 계절형(해당 계절에 신월 4회 중 3번째)으로 분류됩니다.
  • 시간대 주의: 신월은 전 세계적으로 한 순간(UTC)에 일어나지만, 현지 시각대에 따라 날짜가 8월 22일 또는 23일로 달라 보일 수 있습니다. 
  • 발생 간격: 월간형은 평균 약 29개월, 계절형은 약 33개월 간격으로 돌아옵니다(대략 2.5~2.8년).

작동 원리 (절차/이해 순서)

  1. 달의 위상 주기 이해: 신월→초승→상현→보름→하현→그믐을 약 29.5일(삭망월) 주기로 반복. 
  2. 달력/계절 경계가 만든 ‘겹침’: 달의 주기(29.5일)와 달력 월(28~31일)·천문학적 계절(약 3개월) 경계가 어긋나면서, 드물게 한 달에 신월이 2번이 되거나, 한 계절에 신월이 4번 들어갑니다(각각 월간형/계절형 블랙문). 
  3. 관측성: 신월은 태양과 같은 방향에 있어 육안 관측 불가. 다만 신월 전후 며칠은 하늘이 어두워 은하수/성운 관측이 호조건. 

주의사항

  • 천문학 비공식 용어: 학술 기관(IAU 등)에서 표준화한 용어가 아니며, 보도/대중매체·커뮤니티에서 널리 쓰이는 별칭입니다.
  • 재난과 무관: 조석력 변화는 주기적으로 있지만, 블랙문을 지구 종말·재난 신호로 보는 주장은 근거 없음

자주 묻는 질문(FAQ)

  • Q. 우리말로는 ‘삭’인가요?
    A. 네. 한국에선 신월을 ‘삭(朔)’, 태양·달·지구가 같은 경도에 놓이는 순간을 합삭이라 부릅니다(신월 정의는 NASA 참조). 
  • Q. 블루문과의 관계?
    A. 블루문이 보름달의 달력 겹침이라면, 블랙문은 신월의 달력 겹침이라는 점에서 ‘짝 개념’으로 소개됩니다. 
  • Q. 한국에서는 정확히 몇 시에 신월인가요?
    A. 서울 기준 2025-08-23 15:06에 신월입니다(현지 시각). 
  • Q. 그날 뭘 보면 좋나요?
    A. 신월 당일 달은 보이지 않으니, 전후 며칠 밤에 은하수·희미한 성운/성단 관측을 추천합니다. 

참고·공식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