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쉽게 따라보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총정리 & 지난주 화재 사건 대응 가이드 🔥🧯
요약(3줄)
-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은 중앙행정기관 핵심 디지털 서비스의 통합 운영을 맡는 정부 데이터센터 조직으로, 전신은 2005년 정부통합전산센터(GIDC)이며 2017년 NIRS로 재편됐습니다.
- 지난주(2025-09-26) 대전센터 화재로 일부 온라인 민원·모바일 신분증 등 약 수십 개 서비스가 중단됐고, 정부는 647개 행정시스템 중 551개 순차 재가동, 보안장비 99% 복구를 발표했습니다.
- 생명·안전·치안·국가재정 핵심 서비스는 중단되면 안 되는 범주로, 이중화·백업센터, 배터리·전력설비 안전, 크로스-리전 액티브-액티브 등 재발방지 대책을 상세 제시합니다. (세부 대책 아래 참고)
- ① 기관 개요: 설립 목적·연혁·법적 근거
- ② 데이터센터 위치·조직
- ③ NIRS가 맡는 디지털 자원 규모(서비스/시스템/장비)
- ④ 지난주 화재 사건 타임라인 & 영향
- ⑤ “절대 멈추면 안 되는” 서비스 범주 정리
- ⑥ 재발방지·복구 대책 체크리스트
- ⑦ 기관·지자체를 위한 DR 리허설 운영표(예시)
- ⑧ 자주 묻는 질문(FAQ)
1) 기관 개요 — 설립 목적·연혁·법적 근거
설립 목적은 정부·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과 국가정보통신망을 안정적으로 통합 운영하고 효율·보안을 높여 디지털 정부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연혁(핵심)
- 2005년 정부통합전산센터(GIDC) 출범 — 세계 최초 범정부 통합 데이터센터로 평가.
- 2017년 7월 26일 조직 재편·승격 →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발족(행정안전부 소속기관).
왜 통합했나? 부처 별 분산 운영으로 인한 보안·재해 대응의 한계, 투자 비효율, 서비스 품질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전자정부 기반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2) 데이터센터 위치·조직
센터 위치
- 대전 본원(데이터센터)
- 광주 센터 — 주소·연락처 공개(영문 페이지).
- 대구 센터 — 신규 센터 개소·프로젝트 레퍼런스 존재.
※ NIRS 공식 “Location” 페이지에 대전·광주·대구가 표기됩니다.
조직·운영
- 행정안전부 소속기관(법적 근거: 행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 클라우드·보안·자동화 등 민관 협력형 존 구축 사례(대구).
- 가상화/SDDC·분산방화벽 등 클라우드 기반 현대화 추진.
3) NIRS가 담당하는 디지털 자원 규모(숫자로 이해하기)
- 45개 중앙행정기관의 1,460개 디지털 정부 서비스를 약 45,000대 규모 정보시스템(서버·스토리지 등)으로 안정 운영.
- 공공 클라우드(G-Cloud)로 신규/레거시 병행 이전, 비용·확장성 이점 확보.
- 케이스 스터디: 50개+ 정부·공공기관에 핵심 정보자원 제공
4) 지난주 화재 사건 한눈에 보기 (2025-09-26 ~ 09-28)
① 무엇이 일어났나?
- 장소: NIRS 대전 데이터센터
- 시각: 2025-09-26(금) 20:15경
- 원인: 배터리(ESS/UPS 축전계통) 발화로 보고(수사·정밀조사 중).
- 인명: 경상 1, 전원 대피.
② 어떤 서비스가 영향을 받았나?
- 온라인 정부서비스 약 70개가 일시 중단(모바일 신분증, 민원·국민청원 계열 포함 보도).
③ 복구 현황(9/28 기준 주요 지표)
행정시스템 647개 중 551개 재가동 준비/개시 (순차 복구).
보안장비 99%(763/767대)·주요 네트워크/설비 복구, 소손 배터리 384개 제거 보고.
※ 일부 지역 행정업무 처리 지연 사례도 보도됨(예: 전산망 일시 중단).
5) 영향받아서는 안 되는(중단 불가) 핵심 서비스 — “연속성 최우선” 범주 정리
다음 카테고리는 재해·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도 중단되면 안 되는 생명·안전·국가핵심 업무로, 다중센터 이중화·분리망·수동 대체 절차가 사전에 준비되어야 합니다.
① 생명·안전
- 재난문자·경보, 기상·지진 통보
- 119 긴급구조, 응급이송 지휘
② 치안·질서
- 112 신고 접수/배차·공조망
- 사이버위기 경보·관제
③ 국가재정·대민기본
- 국가 지급·세입 기본계정(회계·지급·급여의 최소 기능)
- 주민등록·가족관계, 필수 민원 발급의 최소 기능
④ 외교·안보
- 비상소통, 대외 공지 채널의 지속성
※ 각 기능의 물리적/논리적 분리 및 타 센터 액티브-액티브 권장. (개별 서비스의 실제 주관/호스팅 위치는 기관별 상이)
6) 재발방지 대책 — 실무형 체크리스트 ✅
전력·배터리(ESS/UPS)·설비
- 리튬 배터리 화재 대비: 셀·랙 단위 가스 감지·열폭주 억제·불활성 가스계 소화·구획화 설계.
- 전기실/배터리실 구역 분리, 화재/폭발 시 연쇄 피해 차단 동작(차단기·덕트·댐퍼 자동제어).
- 열점 예지 정비: 열화상·파셜방전(PD)·개폐기/모선 온도 트렌드.
- 정전 시나리오별 UPS→발전기→상용 복귀 자동·수동 절차 리허설(분기/반기).
클라우드/시스템 아키텍처
- 크로스-리전 액티브-액티브 또는 액티브-패시브(0 RPO/분 단위 RTO) 계층화: 데이터베이스 동기/준동기 복제, 멀티 AZ. (NIRS는 SDDC/클라우드 현대화 추진)
- 핵심 업무는 의존성 그래프로 최소구성 정의(예: 인증·결재·메시징·DNS·NTP).
- DNS·IAM·NTP·PKI 등 공통 기반을 별도 존으로 분리 운용.
보안·관제
- 보안장비 재해복구 절차 문서화 및 구성 백업 자동화 (보도: 763/767대 복구).
- 제로트러스트 원칙: 관리 구간은 PAM·MFA 의무화, 변경형 방화벽 정책 CI/CD.
운영·거버넌스
- 백업센터 독립성 강화(전원·망·소방 완전 분리) 및 연 1회 이상 전체 규모 DR 리허설.
- 변경 관리 표준화(승인·릴리즈·롤백), 혼합훈련(chaos engineering) 도입.
- 대국민 소통: 상태페이지·X(트위터)·문자 고지의 투명성·일관성 확보.
참고: NIRS는 2025-09-10에 대구센터 UPS·ESS·비상발전기 법정 정기검사를 실시한 공지(기관 홈페이지 게시)가 있습니다. 주기적 검사와 실제 위기대응 훈련은 서로 보완이 필요합니다.
7) 기관·지자체용 “DR 리허설” 운영표(예시)
사전(−60~−7일)
- 업무단위(BU)별 최소 필수 기능·RTO/RPO 재확인
- 데이터 동기화·스냅샷 스케줄 고도화
- 연계기관(타 부처/지자체) 모의 연동 계획 수립
리허설 주간
- 가상 전력실 장애 시나리오 주입
- DNS 전환·토큰/인증 failover·결재선 최소화
- 대민 고지 > 상태페이지·콜센터 스크립트 적용
사후(+7일)
- 지표: 전환시간, 오류율, 콜센터 문의량, NPS
- 개선안 등록 → 분기 KPI 연계
8) 자주 묻는 질문(FAQ)
Q1. NIRS는 “몇 개” 서비스를 돌리나요?
공식 영문 성과 페이지 기준 1,460개 디지털 정부 서비스, 이를 뒷받침하는 약 45,000대 규모 정보시스템(서버/스토리지 포함)을 운영합니다. (중앙행정기관 45곳)
Q2. 지난주 화재로 무엇이 멈췄나요?
보도에 따르면 약 70개 온라인 정부 서비스가 일시 중단되었고, 정부는 보안장비 99% 복구 후 647개 행정시스템 중 551개를 순차 재가동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Q3. NIRS는 언제부터 있던 기관인가요?
2005년 정부통합전산센터로 출발(세계 최초 범정부 통합 DC), 2017년 현재의 조직명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으로 재편됐습니다.
9) 따라하기 쉬운 구조도 — 액티브-액티브 이중화
10) 결론
핵심: NIRS는 한국 디지털 정부의 “심장”입니다. 물리 설비 안전(배터리/전력)과 크로스-리전 이중화, 정례 DR 리허설을 동시에 강화하면, 생명·안전·치안·재정 핵심 기능은 어떤 재난에서도 지켜낼 수 있습니다. 이번 사건의 투명한 원인 규명과 표준화된 재발방지 조치가 병행될 때 신뢰는 더 두꺼워집니다. 😊
출처(원문 링크)
- NIRS 영문 소개/성과(서비스·시스템 규모): Achievements 페이지.
- NIRS 영문 소개/연혁 배경: About > History.
- NIRS 위치: NIRS Helper > Location(대전·광주·대구).
- 기관 연혁/법적 근거/설립일(2017.7.26): 위키백과(최신 갱신).
면책: 본 글은 공개 보도자료와 공식 페이지를 바탕으로 정리했으며, 수사/감식 결과에 따라 화재 원인·세부 수치는 추가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해당 기관의 공식 발표를 최우선으로 확인하세요.
'TalkTalk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바일 행복이음: 무엇이고, 왜 유용하며, 무엇이 바뀌었나 (8) | 2025.09.27 |
|---|---|
| 수도권 광역버스 좌석예약제, 2025년 8월 11일부터 68개 노선으로 확대 (10) | 2025.09.25 |
| 전동킥보드·전기자전거 최고속도 상향 조작 전면 금지 및 “조작 불가” 표시 의무화 (5) | 2025.09.25 |
| 이재명 대통령 유엔총회 연설: 구체 요지·의미·해외 평가 (7) | 2025.09.24 |
| 헷갈리는 통상임금, 평균임금 개념과 예시 (5) | 2025.09.24 |